글 수 270,171
2007.08.07 05:59:12
1158
배움터
디워 본사람들 반응입니다..

초딩들은 좋아라하고..
중딩들은 반반
고딩들은 냉소적.. 피식피식
성인들은.. 냉소+허탈함..
애들데리고 온 부모들은 애들좋아하니 그나마 됐다는 표정..

단.. 극장을 나서면서 최고다 라고 떠벌리는 인간은 하나도 없었지만..
쓰레기네.. 라고 말하며 투덜대는 사람은 많았다는것.
------------------------------------------------------------------------------------------------------------
그리고 역시나 또다른 전문가 평..

원동연(리얼라이즈 필름(<마지막 늑대> <미녀는 괴로워> 제작) 대표)
제작자 겸 감독이 영화를 자기 것으로 사유화(私有化)시켰다. 공동 작업물인 영화를 두고 개인적 감상과 노고를 엔딩 크레딧에 올리는 것은 영화를 만드는 사람에게 상상하기 힘든 일이자, 진정 코미디라고 생각한다. 관객에게도 영화만을 가지고 판단하게 해야지 내셔널리즘을 동원하는 마케팅은 시대와 맞지 않는다고 본다.

강유정(영화평론가)

<트랜스포머>는 꿈꿔온 것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신기함이 있었다. <디 워>의 경우, 용을 완벽하게 보여주려는 과학 엑스포가 아닌데 기술적 성취만을 영화의 큰 부분인양 이야기하는 자체가 잘못된 선택이 아닌가 한다. 이야기의 부재라기보다 보여주고자 하는 것들이 매력이 없고 보여주는 것이 좀 떨어진다. 의욕은 앞섰지만 타깃을 새로 설정해야 한다. 시대에 맞아야 한다. 고집과 아집의 차이가 우려스럽다.

하정민(월간 ’스크린’ 기자)

CG에 공을 많이 들인 흔적이 보인다. 심형래 감독이라서 폄훼될 부분이 있다고 보는데 그렇게 나쁘지 않았다. 이야기가 허술하다는 점은 할리우드의 블록버스터와 다를 바 없어 보인다. 특히 미국과 조선시대의 결합이 튄다. 캐릭터의 인물 구성은 산만하다. 오락성으로 보자면 일반 관객들에게 아예 외면 받을 수준은 아니지만 워낙에 제작비가 많이 투입된 작품이라 규모에 걸맞은 흥행을 할지는 미지수다.

서동현(월간 ‘프리미어’ 기자)

미국 정킷에서 봤을 때 스티브 자브론스키의 음악이 박진감 넘쳐 화면에 몰입하게 됐다. 조선시대 재현 장면에서 부라퀴 군단이 나오는 CG에는 실망했지만 LA로 넘어와서는 그럴듯한 장면들이 많아서 재밌는 편이었다. 계속해서 주인공들을 쫓는 악한 이무기의 역할은 알겠지만 선한 이무기가 주인공들과 아무런 교감 없이 나타나 대미를 장식하는 단순함은 아쉬웠다.




신윤동욱(‘한겨레21’ 기자)

CG는 괜찮았다. 그런데 이무기라는 괴물이 아무리 잘 만들었어도 별로 매력적이지는 않았다. 배우들의 부자연스러운 연기와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스토리라인 등 감정이입을 방해하는 요소가 많았다. 연출의 미숙함이 부자연스러움을 더하는 것 같다. 에필로그는 문제가 있어 보인다. 영화의 어떤 요소를 설명하는 것도 아니고 감독 자신의 신세한탄이지 않나.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 강요한다는 느낌이 들어 불편했다.

이유진(영화사 집(<그놈 목소리> 제작) 대표)

오히려 스토리에 대해 생각을 많이 안 해서 그럭저럭 재밌게 봤다. 기술 자체는 굉장히 훌륭하지만 새로운 뭔가를 느끼진 못했다. 그렇게 해낼 수 있었던 시도 자체가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이야기 밀도, 그리고 드라마적 긴장감이 뒷받침됐으면 더욱 좋았을 것 같다. 흥행이 굉장히 잘될 것 같다. <트랜스포머>의 성공도 좋은 영향을 끼칠 것 같고 네티즌들 반응도 심형래 감독의 인간승리 쪽으로 돌아선 것 같다.

이형석(‘헤럴드 경제’ 기자)

CG는 할리우드 평균 수준을 성취했다고 본다. 시나리오 자체도 그렇게 큰 문제는 없다는 생각이다. 가장 큰 문제는 장면들에서 스릴감이나 서스펜스를 창출해내지 못했다는 거다. 디테일 면에서 정상급 영화들에 비해 떨어지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작품 전체적으로는 심형래 감독이 만들었다는 게 판단의 근거가 될 수 있을 텐데 그가 만들었다고 보기에는 놀라운 요소도 있고 여전히 전작에 가까운 부분도 있다. 에필로그 부분은 영화 마케팅적으로는 나쁘지 않은 것 같다.

김세윤(‘MBC FM 이주연의 영화음악’ 작가)

심형래 감독은 돈을 벌겠다는 마인드로 접근하는 사람이라서 자꾸 비평적인 마인드로 접근하면 서로 다른 봉우리에서 싸우는 꼴이 된다. 그리고 <디 워>는 심형래 감독의 도전이기도 하지만 영구아트무비 스탭들의 도전이기도 하다. 모든 게 심형래 감독에게만 집중되는 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국내 기술로 작업을 해왔다는 부분에 있어서는 평가를 받아야 하지 않겠나. 그리고 평가를 할 때도 할리우드 예산의 1/10~1/20의 제작비로 만든 걸 감안해야 한다.

송지환(‘무비위크’ 기자)

심형래 감독의 자신감에서 잘 되겠구나, 라는 안도감과 저러다 망하면 어쩌나 하는 우려가 동시에 떠오른다. 지나친 자신감으로 영화에 대해 좋지 않은 평을 하는 사람들을 호도하는 것이 불편함을 주는 것 같다. 마지막 장면의 에필로그는 마치 국가대표 축구 중계 광고 같았다. 굳이 그런 걸 넣을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 CG는 편차가 너무 심하다. 100점에 가까운 장면도 있지만 예전 <용가리>를 벗어나지 못한 장면도 있었다. CG와 실사가 잘 결합되지 못한 장면도 많았다.

달시 파켓(‘버라이어티’ 한국 통신원)

영화를 보러 가기 전에 이미 <디 워>에 대해 혹평한 글들을 많이 봤었다. 그래서 그런 글들을 잊고, 이야기도 무시하고 단지 이무기가 LA를 때려 부수는 것만 즐기기로 마음먹었다. 그리고 좋은 기분으로 극장에 갔다. 그러나 특수효과가 아주 좋았음에도 각본의 결함과 더불어 배우들의 대화가 너무 어색해 곧 화가 나고 우울해졌다. 마침내 영화가 끝났을 때 그런 기분 때문에 술을 마셨던 기억이 난다.




정재형(동국대 예술대학 연극영상학부 교수)

재밌게 봤다. 마지막 에필로그는 심하게 얘기하자면 촌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을 알아주지 않고 천대했던 걸 한풀이하듯이 진행되는데 영화로 보여줬으면 됐지 글로 두 번 설명하는 거지 않나. 그리고 형식만 자막이지 마치 감독이 나와서 마이크 들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기도 하고. 영화를 개인적인 욕망으로 바라보는 게 심형래 감독의 한계 중 하나가 아닌가 한다. 그리고 너무 한국적인 걸 강조하다보니 영화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지 않고 겉도는 느낌이 든다.

전형화(‘머니투데이’ 기자)

CG는 한국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받을 만하다. 그것이 전부인 만큼 관객에게도 좋게 받아들여질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괴수영화라는 장르와 스토리의 단순성, 개봉 시점을 고려했을 때 미국 시장과 2차 판권에서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아리랑’과 심형래 감독의 에필로그는 사족이라고 생각하지만 그의 골수팬들을 충분히 자극시킬 수 있으리라 본다.

양성희(‘중앙일보’ 기자)

LA시가전 때 익룡이 건물에 붙어 있는 장면은 기술도 좋고, 상상력도 좋다. 문제는 역시 이야기다. 시가지 부서지는 장면을 보려는 관객도 있을 텐데 너무 뒤에 배치됐다. 마지막에 선한 이무기가 용으로 승천하는 장면들은 좋았다. ‘아리랑’은 외국인들에게 아름답게 들릴 수 있겠지만 한국 관객들은 오히려 할리우드 콤플렉스로 느낄 것 같다. 개인적으로 안타까운 것은, 몇몇 장면에서 심형래만의 유머가 더욱 빛을 발했다면 좋은 코미디가 됐을 텐데 그 정서를 제대로 못 살린 것이 아쉽다.

김도훈(‘씨네21’ 기자)

특수효과가 훌륭하다고 말할 수는 없고 장한 일을 한 정도로 표현하겠다. 할리우드 특수효과가 지난 10년간 빠른 속도로 발전해온 상황에서 도시를 파괴하는 B급 정서로는 관객들에게 시각적 쾌감을 주기 힘들다. 이야기 안에서 관객들이 따라갈 만한 개연성의 여지가 없는 것도 문제다. 영구아트무비는 전략을 바꿀 필요가 있다. 괴수영화 시장이 존재하지 않는 마니악한 시장인데 그 소재를 가지고 블록버스터를 만드는 것은 난센스다.

김종철(‘익스트림 무비’ 편집장)

거대 괴수영화는 드라마나 연기가 중요한 게 아니다. 괴수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만족스러웠다. 다른 괴수영화와 비교하더라도 액션 연출은 굉장히 좋은 편이다. 그 정도 수준의 액션을 보여준 것은 <고지라> 시리즈 이후 외화에서도 없었다. 할리우드와 승부할 패턴이 분명 존재한다. 그 정도 예산으로 거대 괴수영화 역사가 없는 한국에서 <디 워>를 만든 것은 기적에 가까운 일이다. 1950~60년 괴수영화와 비교해 보건데 현실감 없는 것은 다 똑같다.




서대원(‘무비스트’ 기자)

실망스럽다. 영화적 구성력과 상상력이 너무도 앙상하고 빈곤하다는 게 결정적 패착이다. 비단 스토리뿐 아니라 CG 또한 그 조합과 배열에 있어 충돌이 난무하고 조화롭지 못하다. CG박람회에 출품된 작품이라면 최고의 찬사를 이끌어낼 수 있겠지만 <디 워>는 분명 영화다. 장면 장면이 유기적으로 엮여 있고 묶여 있어야 할, 찰지고 자연스런 흐름을 밑천 삼아 굴러가는, 거대한 영상 덩어리다. 지극히 기본적인 영화적 토대가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상당한 노동력을 쏟아내며 이것저것 많은 것을 쌓아올린 꼴이다.

이상용(영화평론가)

기본적으로 미국에서 상영된다는 걸 감안하면 로버트 로드리게즈의 <스파이 키드> 시리즈처럼 보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한국에서 개봉한다는 관점에서 봤을 때는 여러 사람들이 말하는 개연성, 실사 장면과 CG 간의 어색함이 주는 차이 등이 크게 작용할 것 같다. 부라퀴 군대를 볼 때는 예전 <우뢰매> 시리즈를 볼 때의 느낌이 들 정도였다. 누구 말대로 전체를 CG로 만들었으면 어땠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리랑 배경음악과 영구아트무비에 대한 에필로그는 너무나 뜬금없고, 괜한 민족주의에 대한 호소가 아닌가 한다. 유례가 없어 당혹스럽기도 했고. 그 외에는 약점이 있더라도 무난하게 여름 시장에 통할 만한 영화인 것 같다.

서정환(‘조이씨네’ 기자)

스타 캐스팅과 초대형 세트에 100억 이상을 쏟아 붓고 웰메이드를 내세운 여타 한국영화들보다 엉성하고 투박해도 장르에 있어 한 우물을 파는 심형래 감독의 <디 워>가 더 의미 있는 작업으로 느껴진다. <디 워>가 극복해야 할 것은 CG에 비해 빈약한 스토리가 아니라, 개그맨 심형래에 대한 선입견과 외부인을 타자화하는 영화판의 풍토인 것 같다.
------------------------------------------------------------------------------------------------------------

전 디워 까는 아니지만..
위에 것들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저도 디워 6500원주고 봤습니다...
본결과 위와 같은 것들에 90%이상 동의하게 되네요... 왜 그런걸까요;;
댓글
2007.08.07 04:31:14
phup
죄송한데 그냥 발닦고 주무시면 안될까요? 죄송합니다...
댓글
2007.08.07 04:32:11
데쑤
운좋게 문화상품권이 생겨 오늘 조조로 보고 왔는데요 . .
아 정말 이건 아닌데 . .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CG요 ? 이무기.. 네 좀 괜찮았습니다. 뛰어나다기보다 헐리우드에 버금가는 수준이 되었구나 그정도.
한심한 연기력과 쓴웃음을 자아내는 스토리하며 ; 전 초실망하고 나왔습니다.
보다보니 반지의제왕과 드래곤볼을 적절히 섞은듯한 인상까지 받았어요.

심형래 감독의 힘든 노력에는 찬사를 보내는 바이지만
영화만 봤을때는 아니다 싶었습니다 솔직히 . .
댓글
2007.08.07 04:34:30
이별
디워는 영화 자체만 놓고 보면 헐리우드에 조금은 못 미치는 것이 사실이지만 ! !

디워가 만들어지기까지의 노력과 한국 영화계 발전의 기여까지 따지면 대단한거라고 생각합니다.
댓글
2007.08.07 04:40:00
혹태자
매진되서 다이하드 봤는데
잘된일인가ㅡ,;
댓글
2007.08.07 04:42:47
U2-(유투)
초딩들은 최고라고들 하던데요?ㅎ
댓글
2007.08.07 04:42:56
집행의의지
다이하드도 스토리 허접한건 마찬가지.;;
어째 다이하드는 스토리가 계속 똑같은것 같네요..
댓글
2007.08.07 04:46:33
왜인루니
사람들이 너무 기대를 마니 해서 그런가..ㅡㅡ;;;
댓글
2007.08.07 04:46:43
Felix
영화는 영화로 보면 되지 뭐 이리들 말이 많은지.
저요? 전 안봅니다. 왜? CG가 안좋아서? 스토리가 별로라고들 해서?
그냥 재미없을거 같아서 안봐요.
뭐 이리들 말이 많아.
댓글
2007.08.07 04:48:36
그린tea
저는 기대 많이 안해서... 3,000원 짜리를 버렸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데..
할인 안 받았음 화날뻔 했음...ㅎㅎㅎ
댓글
2007.08.07 04:49:23
글렌피딕
다른 영화와는 다르게 디워를 보는 관객들은 매우분석적이네요 ㅎㅎ
이건 이렇다 저건 저렇다 왜이리 말들이 많은지 모르겠습니다.
관객이 모두 영화평론가, 영화비평가가 된 양 어찌나 시끄러운지...
별 생각없이 보면 안보이는 헛점도 칼날을 세우고 보면 난도질이 가능하지요.
보는 마음가짐의 시작점이 여타 영화와는 달라진거 같네요. 눈에 불을켜고 ㅎㅎ
그렇다고 옹호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부족함이 많은것 또한 사실이니까요.
마케팅 처음부터 애국심과 동정심을 자극하는 것이 참 맘에 안들더군요.
아니, 이건 관객 스스로가 갖게된 생각이었는지도 모르겠군요.
어느것에든 민족성, 애국심을 주입시키는 민족주의적 성향이 이번에도 크게 작용한듯..
영화는 영화지 거기에 왜 '한국'이란 개념이 포함되는 것인지 관객들에게 묻고싶네요.
소위 '빠'와 '까'로 양분된 채 서로 격앙된 반응을 보이는 것도 코메디로 보여요 ㅎㅎ
흠...말하려니까 끝도없을거 같네요. 다들 이런 생각으로 언쟁이 끝나질 않는건가^^;
디워...그리고 갖가지 반응들...참 꽁기꽁기한 영화와 상황입니다. ㅎㅎㅎ
댓글
2007.08.07 04:51:19
그린tea
끝 에필로그에...심감독 사연 나오는거..
다른분들은 감동이었을지 모르겠는데..
저는...
좀 불편했습니다...;;
댓글
2007.08.07 04:59:25
*샤방*
블록 버스터에 멀 바라고 보는건지...
그리고 이 영화 마케팅을.. 무슨 --;; 애국심과 한 사람의 열정을 높이사서 봐달라는 애걸으로 하는게..
너무 싫습니다.
원래 괴물 나오는 영화도 싫어하는데
괴물은 정말 아.. 봉준호 너 정말 멋진 녀섴이다!!! (물론 나이 많으시지만)
그런데 --;; 용가리2는 영;;
댓글
2007.08.07 05:04:14
모범생
저도 영화는 그냥 영화자체로 보고.. 혼자서 감상 평가하고 끝내는 경우가 많은데..
디워는 뭐 워낙에 말이 많아서요...
그만큼 기대작이기도 했고... 그래서 이런분위기가 된거죠 뭐
댓글
2007.08.07 05:25:21
HIGHER
디워보다 수십배 돈 더 들여가며 만들어놓은 헐리우드영화들과 비교하면서
기대만 엄청하고 본듯...
댓글
2007.08.07 05:28:20
HIGHER
영화를 본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봤다는 평이죠...(아주 대작은 아니라도)
물론 까는 사람은 어디에나 있기 마련...
저도 돈 엄청 들인 해리포터랑 스타워즈같은 영화 엄청 깠으니...
그냥 디워까의 일부라고 생각드네요...
댓글
2007.08.07 05:59:12
박카스
배우 연기가 그렇게 티나게 이상하단 느낌 든적이 없었는데...내눈은 싸구련가...
번호
배움터
제목
글쓴이
공지 공통  경희 광장 이용안내 1
쿠플_알리미
2015-10-28 1580031
공지 공통  홍보글 무통보 이동처리 합니다.
KHUPLAZA
2014-05-01 1648218
126981   디워 보고서 인터뷰 하신 분~~ 7
U2
2007-08-07 767
126980   도서관 질문이요 ㅎ 4
경희대생임당
2007-08-07 772
126979   학교에서 영통 원룸촌에 있는 유진슈퍼요 1
딥딥
2007-08-07 869
126978   영화 OST를 구하려고 하는데 없어요 ㅠㅠ 1
외인룬희
2007-08-07 763
126977   해석부탁좀~ 4
띠띠리띠띠
2007-08-07 772
126976   [나의 여름 휴가 실패기] 응모글인데... 읽어볼 만한것 같아서 퍼왔어요..
왜인루니
2007-08-07 922
126975   [급질]영통에 STCO 매장 위치 아시는분~~!! 2
흐흐흐
2007-08-07 1107
126974   회기에...좀 괜찮은 고시원 9
그냥저냥
2007-08-07 1015
126973   학교앞에 부동산좀 추천해주세요 6
딥딥
2007-08-07 1173
126972   최소 수강학점있잖아요.... 2
끼룩ㅋㅋ
2007-08-07 807
126971   전학년.....
Andrew
2007-08-07 927
126970   ★★미분적분학 변희영 교수님 보고서 고봉준 교수님★★★★ 3
도네시스
2007-08-07 1115
126969   학교앞에 cj택배에 물건가져가면 7
kkkoook
2007-08-07 856
126968   저 방송탔어요 ㅋㅋㅋㅋ 33
sharemyheart
2007-08-07 1229
126967   디워보고 인터뷰 하신 분 나온 듯 6
해피대구
2007-08-07 946
126966   디워 보고 sbs 인터뷰 하신분? 4
Meao
2007-08-07 859
126965   컴퓨터 조립 쉽나요?? 16
asdfg
2007-08-07 1075
126964   그러고 보니..최근에 본 영화는 다...어린이대상(?) 영화..ㅋㅋ 15
그린tea
2007-08-07 1636
126963   야구장 가서 경품 받아 보신 분 계세요? 9
해피대구
2007-08-07 1161
126962   한국 영화 대란 속.. 의외의 복병 라따뚜이 10
*샤방*
2007-08-07 822
126961   원룸질문이요 ! 서천동쪽
kl07
2007-08-07 791
126960   단국대 이전하면 그 부지는 어떻게 되는거죠? 5
해피대구
2007-08-07 1146
126959   '디워' 배경되는 이야기 읽으니까... 5
그린tea
2007-08-07 864
126958   음악의이해 복성수교수님꺼요. 2
Bittersweet symphony
2007-08-07 823
126957   뒤늦은 화려한 휴가 후기 --; 8
*샤방*
2007-08-07 866
126956   영화 '기담' 재미있으려나요 ? 14
그린tea
2007-08-07 1106
126955   [펌] 일본인이 본 디워 14
집행의의지
2007-08-07 1057
126954   혹시 로드메이트 연회원 가입하신분 계십니까? 1
거침없이로우킥
2007-08-07 870
  디-워... ㄷㄷㄷ 16
모범생
2007-08-07 1158
126952   자자...지금까지 수강신청 실패하신 님들... 4
이제시작
2007-08-07 859